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비디오 스트리밍
- 네이버 부스트캠프
- 파이썬 웹크롤링
- 네이버 부스트캠프 멤버십
- 프로그래머스
- git checkout
- c++
- react
- beautifulsoup
- 부스트캠프
- PubSub 패턴
- 네이버 부캠
- 웹크롤링
- 자바스크립트 객체
- 스택
- Next.js
- 브라우저 동작
- Next/Image 캐싱
- 파이썬
- 자바 프로젝트
- 자바스크립트 컴파일
- 멘션 추천 기능
- Server Side Rendering
- 코딩테스트
- Image 컴포넌트
- 자바스크립트
- 씨쁠쁠
- 파이썬 코딩테스트
- React.js
- React ssr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힙 insert (1)
코린이의 개발 일지

힙이란? → 이진트리의 한 종류 (이진 힙 - binary heap 이라고도 부른다.) 루트 (root) 노드가 언제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가진다. 최대 힙 (max heap) 최소 힙 (min heap) 완전 이진트리여야 함 → 재귀적으로도 정의 된다. (어느 노드를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도 모두 최대 힙) → 왼쪽과 오른쪽 자식을 비교하는 기준은 없다.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힙 연산을 코드 구현 해보자. 먼저 연산을 정의하자면 init() - 빈 최대 힙을 생성 insert(item) - 새로운 원소를 삽입 remove() - 최대 원소 (root node) 를 반환 (그리고 동시에 이 노드를 삭제) 배열을 이용한 이진 트리의 표현 노드 번호 m을 기준으로 왼쪽 자식의 번호 : 2*m 오른쪽 자식의..
CS공부/자료구조
2021. 9. 13. 17:18